1. 불교 율법과 고려시대 음식문화의 전환고려시대는 불교가 국교로 자리 잡으며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불살생(不殺生)과 청정한 삶을 강조하는 불교 율법은 식문화에도 깊숙이 스며들었다. 고기나 생선을 피하고 곡물, 채소, 콩류를 중심으로 식단을 구성했으며, 이를 단조롭지 않게 만들기 위해 발효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왕실에서 열리는 불교 의례와 사찰에서 진행되는 법회에는 육류가 배제된 음식이 제공되었고, 발효 채식 요리는 단순한 절약이나 보존의 차원을 넘어 수행자의 정신 수양과 연결되었다. 고려시대 불교 음식문화는 발효라는 도구를 통해 채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맛과 영양을 균형 있게 채워주는 방식을 만들어냈다. 2. 발효 채식 요리의 다양성과 조리 원리고려시대 사찰에서 만들어진 발효 ..